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Get your apps ready for the 64-bit requirement https://developers-kr.googleblog.com/2019/01/get-your-apps-ready-for-64-bit.html Google Play의 64비트 요구 사항에 맞춰 앱을 준비하세요 게시자: Vlad Radu(Play 제품 관리자), Diana Wong(Android 제품 관리자) 64비트 CPU는 사용자... developers-kr.googleblog.com https://developer.android.com/distribute/best-practices/develop/64-bit 앱에서 64비트 기기를 지원하는지 확인 | Android Developers 2019년 8월 1일부터 Google Play에 게시되는 앱에서는 64비트 아키텍처를 지원해야 합니다. 64비트 C.. 더보기
Android GC From 5.0 Lollipop To answer one of your questions, the Dalvik VM indeed does use a tracing garbage collector, using a Mark and Sweep approach. According to The Dalvik Virtual Machine Architecture: The current strategy in the Dalvik garbage collector is to keep mark bits, or the bits that indicate that a particular object is “reachable” and therefore should not be garbage collected, separate from other heap memory.. 더보기
oracle sql query in between two date 1)두 날짜 사이의 달 구하기 SELECT ROWNUM RM ,TO_CHAR (ADD_MONTHS (TO_DATE ('200511', 'YYYYMM'), LEVEL - 1),'YYYYMM') mon FROM DUAL CONNECT BY ADD_MONTHS (TO_DATE ('200511', 'YYYYMM'), LEVEL-1) 더보기
왜 자바에서 static의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가? 자바에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특정 메서드를 수행할 때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어서 이를 인스턴스화 해서 쓸건지 아니면 static 으로 쓸건지 고민하게 될 때가 있다. 사실 후자는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그리 좋은 선택은 아니다. Vamsi Emani라는 프로그래머가 stack overflow에 남긴 질문 Why are static variables considered evil? 과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두개의 답변을 번역했다. Q by V. Emani I am a Java programmer who is new to the corporate world. Recently I’ve developed an application using Groovy and Java. All through the code I’ve.. 더보기
OAuth의 개념과 원리 DB의 종류를 바꾸어서 마이그레이션을 하는 과정에서 하나 발견한 JSON token을 발견했습니다. FaceBook에서 사용하는 Token인데, 여기서 OAuth를 사용을 하는데 정확히 원리와 개념에 대해서 몰랐습니다. 그래서 정리를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OAuth 란? "웹, 앱 서비스에서 제한적으로 권한을 요청해 사용 할 수 있는 키를 발급해주는 것입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엄청나게 많은 각 서비스별 ID와 Password를 다 기억하고 로그인시 입력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런데 이 OAuth API를 사용하는 사이트는 그렇지 않습니다. 제한된 설정으로 연결하여 인증하면 그만이죠. 다음은 그 예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그런데 당황스럽게도 이 예에서 본인의 소득수준에 따라서 이해도가.. 더보기
쿠키와 세션 개념 쿠키와 세션은 개발자 뿐만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꽤 많이 들어본 단어입니다. 저 또한 개발은 하지만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서 글을 쓴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정리를 한번 해보려 합니다. HTTP의 특징과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 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인증을 계속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HTTP 프로토콜이 connectionless, stateless한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어 버리는 특징 HTTP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respon.. 더보기
네트워크 전송 GET, POST 비교 발을 하면서 서버에 요청을 하면서 굉장히 당연스럽게 POST, GET을 겸해서 사용해왔습니다. GET방식과 POST방식은 도대체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요? 일단은 왜 사용하는 지에 대해서 일단 정리를 하겠습니다. "GET, POST 방식의 request는 서버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data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Data를 전달한다라는 본질적인 기능적 측면에서는 똑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세부적으로 보안, 전달형식, 전달할 수 있는 data의 량 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차이점이 발생합니다. 이제 GET과 POST 방식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GET 방식 - 클라이언트로가 입력한 query의 이름과 값이 결합되어 스트링 형태로 서버에 전달됩니다. - TAG의 METHOD 속성.. 더보기
Could not find manifest-merger.jar Could not find manifest-merger.jar (com.android.tools.build:manifest-merger:26.1.0). 불러오는 중입니다... stackoverflow에 나온 방법은 allprojects { repositories { jcenter() maven { url 'https://maven.google.com/' } google() } } 에서 jcenter() 를 맨위에두지말고 순서를 바꿔라 였는데 해결 안됨. ----- 해결법은 project gradle에서 buildscript repositories에 jcenter() google() maven { url 'https://maven.fabric.io/public' } // Add this to your pr.. 더보기